반응형

/bin

/bin에는 실행 명령어들이 모여 있습니다. 대부분의 사용자가 실행 가능한 것들이며 우리가 사용하는 기본 명령어들이 담겨 있습니다. cat, chmod, chown, cp, date, echo, kill, ln, ls, mkdir, more, mount, mv, ps, pwd, rm, sh, su, vi 등이 있습니다. 

/boot

말 그대로 시스템 부팅에 관련된 모든 파일을 담고 있습니다. lilo(LInux LOader)의 설정 파일은 /etc/lilo.conf 에 있으며, lilo 자체는 명령어로서 /sbin/lilo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커널 이미지인 vmlinuz 가 위치하고 있으며, lilo 가 아닌 다른 부트로더 프로그램들 모두가 공통적으로 vmlinuz 를 이용해 시스템을 부팅하므로 중요한 디렉토리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이 디렉토리의 파일들은 직접 편집할 수 없으며 커널 컴파일 등의 과정으로부터 생성이 됩니다.

/dev

각종 디바이스 파일들이 위치해 있는데 크게 블록 디바이스와 캐릭터 디바이스로 나뉠 수 있습니다. 블록 디바이스란 HDD와 같은 주변 장치를 말하는데, 데이타가 블록 단위로 읽고 쓰여지며 랜덤하게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반면 캐릭터 디바이스는 입출력이 한 바이트 단위로 이루어지며 데이터가 순차적으로 읽고 쓰여집니다. 디바이스를 새로 만들 때에는 mknod 명령을 이용하면 되며, /bin 에 위치해 있습니다. 

/etc

시스템 설정 파일들이 모여 있습니다. 시스템을 백업하고자 할 때는 꼭 이 디렉토리를 가장 먼저 백업해야 합니다. 각 파일들에 대한 설명은 에디터로 파일을 열어보면 주석처리로 설명이 되어 있으며, 필요 시 참고하시면 됩니다.

/etc/(cshrc.login, cshrc.cshrc, profile)

bash 나 csh,tcsh 사용자가 로그인할 때 기본으로 읽어들여 초기화시키는 파일입니다. 모든 사용자에게 공통으로 적용할 쉘 관련 사항이 있다면 이 파일들을 수정하면 됩니다. 각 사용자들은 자신의 홈 디렉토리에 개별 설정 파일이 있으므로 역시 원하는 대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etc/fstab

시스템 부팅시 처리되는 마운트와 관련한 사항들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etc/group

사용자 그룹이 정의되어 있습니다.

 

/etc/issue

시스템에 로그인할 때 나타나는 'login:' 위에 나타나는 메시지입니다. 로그인할 때 나타나는 메시지를 바꾸고 싶으면 /etc/rc.d/rc.local 파일의 맨 아래 부분에 #로 시작되는 주석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etc/motd

'message of the day'의 약자로 로그인 직후의 메세지를 담고 있습니다. 관리자가 공지를 띄우는 데 유용한 파일입니다.

/etc/passwd

사용자들의 계정 정보와 패스워드, 홈 디렉토리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으며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쓰여져 있습니다

/etc/shadow

쉐도우 패스워드 파일입니다. 

/home

사용자들의 모든 홈 디렉토리에 해당됩니다. 사용자 계정이 생성되면 이 경로에 해당 계정이 생성됩니다.

/lib

공유 라이브러리와 커널 모듈들이 담겨있다. 이전에 짚고 넘어간 /bin과 /sbin디렉토리에 있는 실행 명령어들이 실행될 때 필요한 공유 라이브러리들이 존재한다.

/mnt

마운트 시 사용합니다. 마운트 디렉토리로써 여기에서 마운트해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대부분 이 경로에서 마운트를 진행합니다. 

/proc

일종의 가상 파일 시스템으로 메모리 정보만을 담고 있다.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ps 프로그램이 여기에서 프로세스 정보 등을 참조한다.

/root

Suber User인 root 계정의 홈 디렉토리입니다. 

/sbin

수퍼 유저가 사용하는 실행 명령어들이 대부분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물론 일반 유저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reboot, halt, mkfs, fdisk등이 있습니다.

/tmp

임시 디렉토리입니다. 임시 파일들의 일시적 저장 역할을 합니다.

/usr

/usr 은 리눅스 시스템에서 용량을 많이 차지하는 부분으로 대부분의 프로그램들은 이곳에 설치됩니다.

/usr/X11R6

/usr/X11, /usr/X386 이 모두 /usr/X11R6 의 심볼릭 링크입니다. /usr/X11R6/lib/X11 에는 X-윈도와 관련한 여러가지 파일 및 디렉토리가 있습니다.

/usr/bin

/bin 에서 짐작되듯이, 대부분의 사용자 실행 명령어들이 담겨 있습니다. gcc나 perl등의 개발도구도 여기에 담겨 있습니다.

/usr/doc

역시 doc에서 유추할 수 있듯이 각종 리눅스에 관한 문서들이 있습니다.

/usr/include

C, C++ 프로그램의 헤더 파일들이 담겨 있습니다.

/usr/info

여기에는 여러가지 GNU 프로그램들(gcc, make, autoconf...)의 info 파일들이 담겨 있습니다. 이 디렉토리를 이용하는 방법은 단순히 'info 프로그램 - ex) info gcc -'라고 치면 됩니다. 필요 시 사용하시면 됩니다.

/usr/local

새로운 프로그램들이 설치되는 곳으로 프로그램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되어 있습니다. make install로 프로그램 설치시 기본 디렉토리가 대부분 /usr/local 로 되어 있는 이유가 바로 그것이다.

/usr/man

info 와 비슷한 역할을 합니다. 메뉴얼 페이지가 담겨 있는 것으로 역시 'man 프로그램'을 쳐서 이용할 수 있습니다.

/usr/src

프로그램 소스들이 보관되어 있는 것으로 리눅스 커널이 위치하고 있는 곳입니다.

/var

이 디렉토리 아래에는 시스템 작동 중 변경되는 파일들이 담겨 있습니다. 스풀 파일이나 로그 파일들이인데, 다른 시스템과 공유가 되지 않음을 의미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